우리아이 대소변 훈련 이렇게 시켜주세요
대소변을 가리는 일은 13~24개월 아이에게 아주 중요한 과제이다. 꼭 해야 되는 일이지만 억지로 하면 자칫 아이에게 마음의 상처가 되기도 한다.
기저귀를 떼기 전에 부모가 꼭 알아야 할 것들 아이에게 자신감 심어주는 기저귀 떼기 방법 알아보자.
언제 시작하는 것이 좋은가요?
배변 훈련을 언제 시작하는 것이 좋은가 학자들마다 의견이 다르다. 보통 소변을 참을 수 있고 말을 잘 알아들을 수 있는 20개월부터 시작하자는 의견이 많다.
일정한 시기를 정하기보다는 아이에게 대소변 가리기가 준비되었다는 신호들이 나타났을 때 시작해야한다. 예를 들어 간단한 옷은 스스로 벗을 수 있거나, 흉내내기를 잘하거나, 장난감 등 좋아하는 물건을 바구니나 상자 안에 넣는 것을 좋아해야 한다. 그리고 간단한 지시를 이해하고 따를 수 있어야 하고 성취하는 것에 자부심을 느껴야 한다. 무엇보다 먼저 변을 규칙적으로 보고 두 시간 이상은 소변을 보지 않아야 대소변 가리기를 시작할 수 있다.
18개월쯤 되면 변을 보기 전에 대소변을 보고 싶다는 느낌을 알리지만 그와 동시에 변을 보기 때문에 변기에 앉히기는 어렵다. 21개월이 되면 대변을 미리 알리고 24개월이 되면 소변을 미리 알릴 수 있다. 이렇게 아이들이 배변에 대해 신호를 보냈을 때를 놓치지 않고 배변 훈련을 시작하면 훨씬 수월하다.
억지로 기저귀를 떼면 부작용이 더 크다
아이를 어린이집 보내기 전에 기저귀를 떼서 보내고 싶어한다. 아이의 발달 정도를 무시하고 억지로 기저귀를 떼고 배변 훈련을 강압적으로 하면 아이는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이렇게 되면 아이가 변기 자체를 두려워한다. 그래서 대부분 일부러 끝까지 참다가 지리게 되는데 이때 딱딱한 변이 나오면서 아이에게 통증을 유발하여 대변을 더욱 참게 되는 악순환이 벌어진다. 적개심이 추가로 생겨 난폭하고 공격적인 행동으로 표현된다. 그리고 심한 수치심을 느껴 정서가 위축되어 말수가 적어지고 활발하게 활동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공감"은 엄청난 힘이됩니다.
'팥빵미인의 육아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엄마가 모르는 아이의 스트레스 (2) | 2017.03.09 |
---|---|
유아사춘기 극복 육아법 (2) | 2017.03.06 |
내 아이 수면의 중요성과 수면시간 (0) | 2017.02.22 |
육아스트레스 해결하는 방법 (0) | 2017.02.19 |
아기 기저귀 발진 원인과 해결책 (0) | 2017.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