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바람피는 사람들의 숨겨진 심리
바람의 심리
왜 사람은 바람을 피울까?
바람은 단순한 욕망의 문제가 아니라, 복잡한 심리적·환경적 요인이 얽혀 있는 행동입니다. 심리학자 샤론 솔츠버그(Sharon Salzberg)나 로버트 와이스(Robert Weiss) 같은 전문가들은 바람의 원인을 '감정적 결핍', '자존감 문제', '관계의 불만족', '새로움에 대한 갈망' 등으로 설명합니다.
연구에 따르면(Glass & Wright, 1992) 다음과 같은 요인이 주요합니다:
- 감정적 외로움: 현재 파트너에게서 정서적 지지를 받지 못할 때
- 성적 욕구 불만: 성적 관계에서 만족을 얻지 못할 때
- 자아 강화: 새로운 사람에게 매력을 느끼며 스스로의 매력을 확인하고 싶을 때
- 충동성: 순간적인 유혹이나 충동 조절 능력 부족
- 기회와 환경: 술자리, 출장 등 바람이 용이한 환경에 자주 노출될 때
바람피는 남자의 심리적 특징
1. 자기애적 성향(Narcissism)
심리학자 프레더릭 스턴(Frederick Stern)은 자기애 성향이 강한 남성일수록 외부로부터 끊임없이 인정을 받고 싶어한다고 말합니다. 이들은 파트너 한 사람만으로는 자신의 자존감을 유지할 수 없고, 더 많은 관심과 칭찬을 필요로 합니다.
특징:
- 끊임없이 새로운 대상을 찾아 자존감을 충전하려 함
- 자신의 행동을 합리화하거나 죄책감을 적게 느낌
2. 안정 욕구 VS 자극 욕구의 이중성
어떤 남성은 '가정은 안정, 바람은 자극'이라고 분리해서 생각합니다.이런 경우, 한편으로는 현재 관계를 유지하고 싶으면서도 동시에 외부에서 스릴과 새로움을 추구합니다.
주요 행동:
- 가정이나 연인에게 잘하는 모습을 유지하면서 은밀히 바람
- "가족은 가족, 이건 별개야"라는 논리로 자신을 설득
3. 권력과 통제욕
사회적 지위가 높을수록 바람을 피울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Lammers et al., 2011) 권력을 가진 사람은 자신이 더 많은 것을 가질 자격이 있다고 느끼며, 자신을 특별하다고 인식할 가능성이 큽니다.
바람피는 여자의 심리적 특징
1. 정서적 결핍 해소
여성의 경우 바람의 가장 큰 원인은 감정적 소외입니다. 심리학자 애스턴 앤서니(Aston Anthony)는 여성들이 감정적으로 이해받지 못할 때 외부에서 그 결핍을 채우려 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합니다.
특징:
- 상대방이 자신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고 공감해주면 쉽게 감정적 유대를 느낌
- 바람 상대와 '진짜 사랑'을 느낀다고 믿기 쉬움
2. 관계에 대한 실망과 복수 심리
파트너에게 배신당했거나, 오랫동안 무시당했다고 느낀 여성은 복수 심리 또는 자존감 회복 차원에서 바람을 피울 수 있습니다.
주요 행동:
- 이전에 받았던 상처를 잊기 위해 다른 관계를 선택
- 무의식적으로 "나도 사랑받을 수 있어"라는 메시지를 자신에게 증명
3. 변화에 대한 갈망
오랜 연애나 결혼 생활이 지루하게 느껴질 때, 새로움에 대한 욕구가 바람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나 자신을 찾고 싶다'는 심리적 욕구가 바탕에 있습니다.
남녀 공통: 바람의 행동 패턴
- 거짓말과 비밀 행동: 일정 패턴이 깨지고, 휴대폰 사용 시간이 늘어나거나 비밀이 많아짐
- 감정적 거리감: 대화가 줄고, 신체적 접촉이 줄어듦
- 외모 변화: 갑작스러운 외모 관리(운동, 옷 스타일 변화 등)
- 정당화: "요즘 힘들어", "스트레스가 많아서" 등 스스로를 합리화하는 발언 증가
다양한 케이스
케이스 1. 결혼 10년차 남성 A씨
→ 성공적인 커리어를 쌓은 뒤, 자신이 특별하다고 느끼며 여러 여성과 동시에 관계. 주 원인: 권력감과 자기애적 욕구
케이스 2. 육아에 지친 여성 B씨
→ 남편과의 대화 단절, 외로움에 지쳐 회사 동료와 감정적 외도 시작. 주 원인: 정서적 결핍
케이스 3. 20대 커플 C씨
→ 남자친구가 무심해진 틈을 타 여성이 동호회에서 다른 사람과 가까워짐. 주 원인: 감정적 공감 욕구
결론: 바람은 '나쁜 사람' 문제만이 아니다
바람은 단순한 '나쁜 사람'의 문제가 아닙니다. 심리적 결핍, 자존감, 인간관계 만족도, 삶의 의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복잡한 심리 현상입니다. 따라서 무조건적인 비난보다는, 왜 이런 행동이 나타났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관계를 건강하게 유지하려면 다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 감정적 소통을 끊임없이 유지할 것
- 서로의 욕구와 불만을 솔직하게 공유할 것
- 삶의 다른 영역(취미, 친구, 일)에서도 만족감을 찾을 것
[FAQ]
Q. 바람은 유전인가요?
A. 일부 연구에서는 외도 성향이 유전적 요소와 약간 관련 있을 수 있다고 하지만(Garcia et al., 2010), 대부분은 후천적 환경과 심리적 요인이 더 크게 작용합니다.
Q. 한 번 바람핀 사람은 또 바람을 필까요?
A. 통계적으로 재발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모든 경우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며, 자기반성과 관계 재구성이 이루어지면 변화할 수 있습니다.